elk1 분산환경은 로깅을 어떻게 할까 개요 slueth-zipkin을 통해서 하나의 Request가 어떻게 어떤서비스에서 얼마의 시간을 소요하고 흘러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. 전통적으로 서비스는 개별로 로그를 보관한다. 로그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별 서비스의 로그를 찾아가면서 확인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을 타개하기 위해 ELK Stack이 도입되었다. 각각 Elasticsearch, Logstash, Kibana 의 약어이다. 분산된 로그데이터들을 중앙화하고 분석과 검색, 시각화에 용이하게 수집 및 정리하는데 사용된다. ELK Stack Elasticsearch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. 실시간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오픈소스 검색 엔진이다. 기본적인 full-text 검색 뿐 아니라, 구조화된 데이터와 비구조.. 2023. 12. 5. 이전 1 다음